VOl.12 - 2022.10

지난 웹진 보기 구독하기

  • 2024 04

    웹진 이데아 VOL.30

    웹진 이데아 VOL.30

  • 2024 03

    웹진 이데아 VOL.29

    웹진 이데아 VOL.29

  • 2024 02

    웹진 이데아 VOL.28

    웹진 이데아 VOL.28

  • 2024 01

    웹진 이데아 VOL.27

    웹진 이데아 VOL.27

  • 2023 12

    웹진 이데아 VOL.26

    웹진 이데아 VOL.26

  • 2023 11

    웹진 이데아 VOL.25

    웹진 이데아 VOL.25

  • 2023 10

    웹진 이데아 VOL.24

    웹진 이데아 VOL.24

  • 2023 09

    웹진 이데아 VOL.23

    웹진 이데아 VOL.23

  • 2023 08

    웹진 이데아 VOL.22

    웹진 이데아 VOL.22

  • 2023 07

    웹진 이데아 VOL.21

    웹진 이데아 VOL.21

  • 2023 06

    웹진 이데아 VOL.20

    웹진 이데아 VOL.20

  • 2023 05

    웹진 이데아 VOL.19

    웹진 이데아 VOL.19

  • 2023 04

    웹진 이데아 VOL.18

    웹진 이데아 VOL.18

  • 2023 03

    웹진 이데아 VOL.17

    웹진 이데아 VOL.17

  • 2023 02

    웹진 이데아 VOL.16

    웹진 이데아 VOL.16

  • 2023 01

    웹진 이데아 VOL.15

    웹진 이데아 VOL.15

  • 2022 12

    웹진 이데아 VOL.14

    웹진 이데아 VOL.14

  • 2022 11

    웹진 이데아 VOL.13

    웹진 이데아 VOL.13

  • 2022 10

    웹진 이데아 VOL.12

    웹진 이데아 VOL.12

  • 2022 09

    웹진 이데아 VOL.11

    웹진 이데아 VOL.11

  • 2022 08

    웹진 이데아 VOL.10

    웹진 이데아 VOL.10

  • 2022 07

    웹진 이데아 VOL.09

    웹진 이데아 VOL.09

  • 2022 06

    웹진 이데아 VOL.08

    웹진 이데아 VOL.08

  • 2022 05

    웹진 이데아 VOL.07

    웹진 이데아 VOL.07

  • 2022 04

    웹진 이데아 VOL.06

    웹진 이데아 VOL.06

  • 2022 03

    웹진 이데아 VOL.05

    웹진 이데아 VOL.05

  • 2022 02

    웹진 이데아 VOL.04

    웹진 이데아 VOL.04

  • 2022 01

    웹진 이데아 VOL.03

    웹진 이데아 VOL.03

  • 2021 12

    웹진 이데아 VOL.02

    웹진 이데아 VOL.02

  • 2021 11

    웹진 이데아 VOL.01

    웹진 이데아 VOL.01

더보기

인터뷰

코로나 일상 속
안전한 문화관람 서비스를 책임진 큐아이
소외계층 맞춤형 관람 서비스까지 확대하다
AI를 활용해 새로운 미래가치 창출하다,
㈜아이브릭스 안영민 부대표

인터뷰

Question01

안녕하세요,
부대표님,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이브릭스 부대표 겸, 기술책임자 안영민입니다.
어릴 때부터 컴퓨터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정확히는 ‘전자오락’이라고 불리는 게임에 관심이 많았죠. 그러다 이 ‘전자오락’이라는 것이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 관심이 생겼고, 이런저런 정보를 접하게 되면서, 처음으로 S/W라는 개념을 어렴풋이 알게 된 것 같습니다. 이후로는 컴퓨터공학을 전공하면서 H/W를 제어하는 관점에서 S/W에 개인적으로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공부를 했었습니다. 당시 학과 지도교수님이 1980년대부터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를 공부해오셨고, 구문의 구조를 컴퓨터로 해석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하고 계신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저도 사람의 말과 글을 컴퓨터로, 즉 S/W로 다룰 수 있다는 것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는 당시 가장 인기가 높았던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등이 아닌 자연어처리를 석사, 박사의 세부전공으로 삼아 공부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후 자연어처리가 필요한 정보검색 전문기업에서 S/W 연구/개발로 커리어를 시작하였고, 전통적인 언어처리의 근본이 되는 형태소분석과 구문분석 엔진을 상용 S/W에 구현하였습니다.
2016년 7월 ㈜아이브릭스를 창업한 현재 대표가 자연어처리를 응용한 AI 영역으로 사업과 연구를 해보자는 제안으로 쭉 함께 하고 있습니다. 저는 ㈜아이브릭스의 기술에 대한 연구, 제품 개발에 대한 총 책임자이며, 기술에 대한 응용 및 접목이 필요한 실제 필드 영역에 다양한 기술 지원과 교육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아이브릭스는 사람이 행하는 비창의적 행동을 대체하는 AI 도구를 서비스한다는 슬로건 아래, ‘새로운 미래가치 창출’을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를 만들고자 하는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언어처리 기술과 글로벌 오픈소스 및 지능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인공지능 서비스, 클라우드에 적합한 검색 서비스, 비정형 텍스트 분석 서비스, 콘텐츠 추천 서비스 등의 분야에 고객이 필요로 하는 최적의 IT 솔루션을 공급 및 구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Question02

한국문화정보원과 ‘지능형 문화정보 큐레이팅봇 구축’사업을 함께 하셨다고 하셨는데,
어떤 서비스인지 소개부탁드립니다.

지능형 문화정보 큐레이팅봇 구축 사업은 박물관, 미술관, 관광지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공공문화장소에 AI 및 로보틱스 기술을 활용한 외국인 관광객 및 내국인 방문객 만족도 제고를 위해 처음 기획된 사업입니다.
2018년도 1차년도 사업에 국립중앙박물관과 나주박물관에 큐레이팅봇이 도입된 이후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22년 5차년도까지도 지속되는 사업입니다.
4차년도까지 국립중앙박물관(4대), 국립나주박물관(1대), 국립제주박물관(2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1대), 제주항공우주박물관(1대), 국립국악원(1대), 국립아시아문화전당(1대), 국립태권도박물관(1대)에 큐레이팅봇(Curation Robot)이 도입되었습니다.
최근 2022년 5차년도에는 소외계층 및 장애를 가진 이용객의 문화 관람을 지원하고, 비대면 문화향유 지원 서비스를 모토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큐레이팅봇은 자율주행 로봇으로서, 동행안내, 도슨트, 안내서비스 등을 제공합니다.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와 음성제어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람객이 큐레이팅을 요청하거나 질문을 하면, 큐레이팅봇이 관람객의 질문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대답을 음성과 화면으로 제공합니다.

인터뷰

인터뷰

▲ 큐아이 서비스 제공 모습

Question03

관람객과 자연스러운 대화를 이끌 수 있었던
핵심 기술인 자연어 이해(NLU) 기술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먼저 자연어이해와 음성인식이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그런지 동일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구분해서 말씀드리면, 현재 기술 수준에서 보면 음성인식은 말한 것을 텍스트(문장)로 변환하는 것이고, 그 말한 내용의 의미가 무엇이고 핵심이 되는 어휘(단어)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자연어이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상대방이 어떤 의도로 발화했는지를 이해해야 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응답을 해야하기 때문에 인간과 모든 기계의 인터랙션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큐레이팅봇 사업을 하면서 기술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은 불완전한 질문에 대해서 어떻게 답변하느냐였습니다. 소음이 존재하는 개방된 공간에서 여러 사람들이 질문을 할 경우 음성인식 자체가 불완전하기 때문에 그 의미를 파악하는 것은 사람이 직접 한다고 해도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 일반적인 질문에 대해서 답변을 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불완전한 문장이지만 실마리가 되는 단어나 문구가 있다면, 그에 대한 응답을 할 수 있도록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전통적인 형태론(단어), 통사론(구문)을 기반으로 문법-의미-규칙과 머신러닝을 통한 잠재적 특성 파악 등을 결합하여 결과(응답)를 생성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고, 답변이 흥미를 끌 수 있어야 하겠지만, 공공기관 특성상 정보를 전달하면서도, 사실(Non-Fiction)이어야 하는 원칙을 준수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인터뷰

인터뷰

▲ No-Code 기반 비정형 텍스트 분석 플랫폼

Question04

앞으로의 계획이 궁금합니다.

㈜아이브릭스는 어떤 질문에도 자연스러운 답변을 할 수 있지만 사실성(Factfulness)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PLM(Pre-trained Language Model) 기반의 대화와 발화자의 의도에 따라 대화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시나리오 기반의 대화를 결합하여 보다 완성도 높은 질의-응답 솔루션을 개발하여 실제 생활에서 사람의 말과 글이 모든 기기와 소통할 수 있는 기본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도록 연구와 개발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또한, 기업이나 기관의 의사결정을 위한 빅데이터의 80%는 비정형 그리고 텍스트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비정형 텍스트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눈으로 읽고 공부하면서 이해(Insight)하는 수 밖에 없고, 그 대상이 수십만, 수백만 문서라면 전체적인 분석은 불가능합니다.
㈜아이브릭스에서는 특별한 코딩 작업 없이 기능 컴포넌트를 구성하고 설정 값을 입력하여 텍스트 분석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Drag & Drop으로 기능 컴포넌트를 나열하고 연결하여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자신이 직접 시각화(Visualization)하여 통찰을 얻을 수 있는 NO-CODE 기반의 비정형 텍스트 분석 플랫폼과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실제 기술의 의미와 상용가능 수준에 대해서 고객들과의 눈높이를 맞추기 위한 대화와 교육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인터뷰